• 자동차
    • 에너지
    • 헬스케어
    • 문화콘텐츠
    • 과학기술
    • 농축수산
    • 재난안전
    • 국토환경
    • 기타
    • Flat File
    • 텍스트
    • 이미지
    • 오디오
    • 동영상
    • 기타
    • 무료
    • 유료
    • 제공기업 승인 후 공유
    • 공공·연구목적으로만 공유
    • 가격협의
    • 광주그린카진흥원
    • 한국광기술원
    • 광주테크노파크
    • 배터플라이
    • 맨인블록 주식회사
    •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 OnCreative
    • 중앙대학교
    • 아미텍
    • 광주과학기술원
    • 레플리
    • 엔에이치엔데이터
    • (주)소울소프트
    • 인텔렉투스
    • 더매트릭스
    • 커먼컴퓨터
    • KAIST
    • (주)카라멜라
    • 바이칼AI
    • 주식회사 보스반도체
    • 주식회사 콕스웨이브
    • 시스메틱
    • 에픽모바일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주)비에이에너지
    • 쌍용정보통신(주)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원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주) 비트러스트
    • 주식회사 페픽
    • 개방데이터
    • (주)알에프에이
    • 한국과학기술원
    • 광주과학기술원
    • Deeply Inc.
    • 주식회사 경성테크놀러지
    • 인비즈
    • 주식회사 보이스에이아이
    • (주)이큐포올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테서
    • 주식회사 맥스테드
    • 한국과학기술원
    • (주)파인트리시스템
    • 주식회사 써니마인드
    • 주식회사 코니스트
    • 주식회사 클레버러스
    • 광주과학기술원
    • (주)휴먼아이씨티
    • 주식회사 맨드언맨드
    • 레플리
    • (주)인비즈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광주과학기술원
    • 엔에이피에스
    • 한국과학기술원 AIPR LAB
    • (주)스피치툴스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주)씨에이에스
    • 고려대학교 데이터마이닝연구실 (DMIS)
    • 티쓰리큐
    • (주)마인디즈
    • 주식회사 리콘랩스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주)미소정보기술
    • 바비디
    • 광개토연구소
    • 중앙대학교
    • 주식회사 액션파워
    • 주식회사 마이스
    • 주식회사 원라인에이아이
    • 숭실대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 한국자동차연구원
    • (주) 씨이랩
    • 아이젠사이언스
    • (주) 파워젠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디플리
    • 고려대학교
    • 재단법인 경북연구원
    • 주식회사 자이냅스
    • (주)세종플랫폼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KAIST
    • (주)탐시스텍
    • (주)와이즈넛
    • (주)슈퍼브에이아이
    • NCSOFT
    • (주)코랩
    • 전남대학교
    • (주)페르소나에이아이
    • 한국과학기술원
    • (주)유비파이
    • 알바이오텍 주식회
    • 울산과학기술원
    • 에스알유니버스
    • 도비캔버스 주식회사
    • (주)둡
    • 강원대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 더블인
    • 주식회사 고고탁
    • 아우토크립트
    • 서울대병원
    • (주)조인트리
    • 미르이즈
    • 주식회사 실리콘아츠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자이플래닛
    • (주)아이브릭스
    • 한양대학교 산업협력단
    • 메사쿠어컴퍼니
    • 주식회사 그라운드원
    •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 주식회사 컴플렉시온
    • 주식회사 스위트앤데이터
    • 동아일보사
    • (주)솔트룩스이노베이션
    • 주식회사 트위그팜
    • 슈어소프트테크
    • 아일리스프런티어
    • 한국항공대학교
    • 주식회사 에스디테크
    • (주)포테이토넷
    • 서울대학교
    • 에이펙스소프트
    • 광주과학기술원
    • 한동대학교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에픽비긴즈
    • 고려대학교
    • (주)애니챗
    • 메모노드주식회사
    •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 브레인소프트(주)
    • (주)위즈아이
    • 하나시스 주식회사
    • 밈브레스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주식회사 미피아
    • (주)맵시
    • 주식회사 타날리시스
    • 고려대학교
    • 부산대학교 사물인터넷연구센터
    • 주식회사 호미에이아이
    • 버넥트
    • 액션파워
    • 한국과학기술원
    • (주)비투엔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쌍용소프트웨어
    • 주식회사 디엑스아이소프트
    • (주)랩큐
    • 주식회사 미어제터
    • 동국대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주)위즈베라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주)윕스
    • 국민대학교
    • 중앙대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 스페이스에이아이
    • 고려대학교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울산과학기술원
    • 인포보스 주식회사
    • (주)무하유
    • 머신러닝 및 비젼 연구실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남대학교
    • 광주과학기술원
    • 한국과학기술원
    • (주)지놈포미
    • 주식회사 유알피
    • 부산대학교 사물인터넷연구센터
    • 한국과학기술원
    • 비앤더블유이앤씨 주식회사
    • 서울대학교 AI연구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서울대학교
    • 조선대학교
    •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AI연구원)
    • 앱테스트에이아이
    •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한터글로벌
    • 고려대학교
    • 주식회사 유니바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 한국과학기술원
    • 레피소드 주식회사
    • 주식회사 애나
    • 티맥스알지
    • 주식회사 노타
    • 한국과학기술원
    • (주)이스트소프트
    • (주)원모어시큐리티
    •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려대학교
    • 광주과학기술원
    • (주)스피랩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DMIS 연구실)
    • 데이터플라이주식회사
    • 데이터메이커
    • 코넥시오에이치
    • (주)데이콘인피니티
    • 주식회사 카라아이엔씨
    •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 (주)에이아이빌
    • 한국과학기술원
    • 전남대학교
    •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 한양대학교 ERICA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에이아이시드
    • 메타몰프
    • 서울대학교 AI 연구원
    • 주식회사 테스트웍스
    • 바이오에이아이
    • 주식회사 엑스알에이아이
    • 플루언트
    • 주식회사 바이오리서치에이아이
    • 주식회사 원인터내셔널
    • 주식회사 무버스
    •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주식회사
    •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AI연구원)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AI연구원)
    • 서울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 대학
    • (주)모비젠
    • (주)에이치씨엔씨
    • (주)씨에이에스
    • (주)하마랩
    • 한국과학기술원
    • 한국과학기술원
    • (주)크랩스
    • Rebuilderai
    •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AI연구원)
    •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AI연구원)
    • 주식회사 에스틸리
    •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AI연구원)
    • 배재대학교
    • (주)마고
    • 투디지트
    • 로앤컴퍼니
    • 한양대학교 인간중심컴퓨팅연구실
    •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AI연구원)
    • 주식회사 에듀템
    • 애자일소다
    • 주식회사 심바이오트에이아이
    • 주식회사 테서
    • 광주과학기술원
    • 주식회사 콕스웨이브
    • 써니팩토리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코디미
    • 튜링바이오
    •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테크
    • 딥세일즈(주)
    • 그린다에이아이
    • 주식회사 다파다
    • 주식회사 그레이비랩
    • 울산과학기술원
    • 버추얼에너지(주)
    •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AI연구원)
    • 디엔에스랩
    • 이화여자대학교
    • 광주과학기술원
    • 오니오에이아이
    • 충남대학교
    • HJ_AILAB
    • (주)파이브웍스
    • 스마트엠투엠
    • 주식회사 볼트윈
    •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 일루니
    • 주식회사 파수
    • 주식회사 비에이치에스엔
    • 한국과학기술원
    • 주식회사 톡티랩
    • 렉스소프트(주)
    • 전남대학교
    • 알레시오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브레인드넷
    • (주)센트리어
    • 서울디지털재단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주식회사 플리토
    • 에이리스
    • 메가스터디교육(주)
    • 베링랩
    • 윤즈정보개발
    • 성균관대학교
더보기

AI 기반 의료영상 분석을 통한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개발 (대장용종)

[모델]

CNN 기반 2-Stage Detect 를 사용하는 인공지능 탐지모델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는 실제 내시경 사용시 높은 탐지 정확도를 확보하는데 유리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원천 데이터 및 데이터셋]

협력 의료기관에서 제공받은 DICOM 의료 정지 이미지 (테스트용)

협력 의료기관에서 제공받은 내시경 의료 화상 영상 (약 30GB 분량)

Kaggle에서 수집된 대장 용종과 관련된 Kvasir 데이터셋

 

[전처리 작업]

학습에 mmdetectio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였는데, mmdetection의 경우 Coco Dataset 형태의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Kvasir에서 확보한 데이터에서 확인한 좌표값으로 YOLO Dataset으로 변환 후 Python을 통해 이를 Coco Dataset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협력 의료기관에서 확보한 데이터의 경우 영상에서 실제 polyp이 있는 부분을 이미지화하여 mask 처리, mask 처리한 파일을 통해 Coco Dataset으로 직접 만들어주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학습 및 실험 결과]

기존에 Kvasir의 데이터셋을 2-Stage Detect 사용 알고리즘으로 학습된 모델을 테스트용 영상 파일을 이용해 테스트했을 때 Accuracy값은 0.4~0.5 사이로 표시됨을 확인하였습니다.

새로 학습된 모델을 테스트용 영상파일을 이용해 테스트하였을 때 Accuracy 값은 0.7~0.9 사이로 표시됨을 확인하였습니다.

1-Stage Detect 기반으로 학습한 모델의 경우 Accuracy가 0.5~0.6 사이의 범위로 표시됨을 확인하였습니다.

 

1-Stage Detect 기반의 경우 탐지 속도가 빠른 대신 Accuracy가 상대적으로 낮아 정확한 결과값을 기대하기 어려움으로 판단 실 제품에서는 Faster-RCNN 알고리즘을 적용하는것으로 결론이 도출되었습니다.

 

[데이터셋 공유]

Kvasir의 데이터셋은 해당 링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Kvasir-SEG Data (Polyp segmentation & detection)

협력 의료기관을 통해 확보한 원천 데이터 및 데이터셋은 의료관련 데이터의 특성상 개인정보 유출 우려로 인해 공유가 어렵습니다.

2024-12-18

데이터센터 서비스 활용 대규모 멀티모달 모델 학습, 3D 객체/공간 복원 사례

모델

3차원 복원 촬영 어려움 개선

- Zero123 (https://github.com/cvlab-columbia/zero123) based custom model

3차원 복원 배경 성능 개선

- Multidiffusion (https://multidiffusion.github.io/) based custom model

데이터셋 및 전처리

3차원 복원 촬영 어려움 개선

- 자체 서비스를 통해 확보한 3D Object 및 이를 복원하기 위한 원본 영상 Pair

- Objaverse 3D Object Dataset

- ABO Dataset 중 3D Objects

3차원 복원 배경 성능 개선

- PanoBasic Matlab toolbox를 활용 프레임을 RGBD Panorama 이미지로 가공 (https://github.com/niessner/Matterport/tree/master/code)

- Equirec2Perspec, Panorama image skybox 로 변형 전후상하좌우 6 장

- BLIP2, prompt generate from 8 perspective images (https://github.com/salesforce/LAVIS)

- Custom dataset 파노라마 360 이미지 생성 서비스(https://www.blockadelabs.com/)를 활용한 직접 데이터 생산 방식으로 데이터셋으로 사용

수행내용

GPU 고효율 사용을 위한 시스템 자체 개발

- GPU 활용 고도화를 위한 자체 모니터링/대시보드/보안관리/운영방침을 수립하여 AICA 클러스터를 Kubeflow 에 연동

뉴럴 렌더링용 서비스 파이프라인 개선 및 품질개선

당사 서비스 파이프라인 중 하나인 2D 영상 기반 3D 복원에 사용되는 NeRF 기반 뉴럴렌더링 기술을 Gaussian Splatting 및 후속 효율화 연구를 적용해 고도화, 품질 개선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함. 사용자의 pain point 중 촬영의 어려움 및  배경 생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생성형 모델을 결합한 복원 방식을 개발하는 한편 배경을 자동 생성하고자 하는 연구를 수행함.

<Zero123를 응용한 일부 이미지 기반 미촬영 영역 이미지 생성 PoC>

<MultiDiffusion 을 커스텀하여 배경생성을 지원하는 연구 진행>

연구결과

- 미촬영 영역에 대한 생성형 이미지 추론 기반 복원 성능 개선 확인 (PSNR 20->26, LPIPS 0.28->0.18)

- 3D 모델링 기술을 상용화하여 각종 국책사업/연구과제에 납품/활용. (ETRI 연구데이터 수집 지원, 조선왕릉 복원, 문화재 기후피해 원상복구 지원용 기술 개발)

(좌: ETRI 생성형 AI 모델 개발을 위한 데이터셋 제작 납품. 우: 조선왕릉 VR 콘텐츠 제작을 위한 스캔 및 뉴럴 랜더링 복원 결과물 스크린샷)

(기후피해 원상복구 기술 개발을 위한 고품질 3D 스캔 공동연구)

데이터셋 공유

  • 모델 학습을 통해 개선된 사례가 문화재 국책과제 연구개발 독점사용, VR 콘텐츠 제작 (문화재 콘텐츠 라이선스 이슈) 및 문화재 기후피해 대책 연구용으로 우선 활용되어 데이터셋 제공이 어려움. 

2024-12-18

심층신경망 기반 비디오 화질 개선 기술 방안 연구 (BA00000895)

사용 데이터 셋: REDS/Vimeo90K dataset

데이터셋 링크: 

1. REDS: https://seungjunnah.github.io/ Datasets/reds.html   (open dataset)

2. Vimeo90K: http://toflow.csail.mit.edu/ (open dataset)

 

1.REDS

REDS (REalistic and Dynamic Scenes) 데이터셋은 비디오 초해상화 연구를 위한 benchmark dataset입니다.

이 데이터셋은 다양한 장면과 움직임을 포함하여 실제 환경에서의 비디오 초해상화 성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주요 특징
1)다양한 장면:

-실내, 실외, 도시, 자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촬영된 비디오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2)고해상도 및 저해상도 비디오 쌍:

-각 장면은 고해상도(HR)와 저해상도(LR) 비디오 쌍으로 제공됩니다.
-초해상화 모델의 학습과 평가할 수 있습니다.

 

3)프레임 수:

-각 비디오는 30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간적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초해상화 성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4)다양한 움직임:

-빠른 움직임, 느린 움직임, 복잡한 배경 등 다양한 움직임을 포함합니다.
-실제 상황에서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5)데이터셋 구성
-훈련 데이터: 240개의 비디오 시퀀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시퀀스는 100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검증 데이터: 30개의 비디오 시퀀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시퀀스는 100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테스트 데이터: 30개의 비디오 시퀀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시퀀스는 100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6)활용 예시
-REDS 데이터셋은 주로 딥러닝 기반의 초해상화 모델을 훈련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Bicubic으로 전처리된 dataset을 딥러닝 네트워크의 입력으로 학습하여, 초해상화된 출력과 원본 고해상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결과를 추출합니다.

 

2. Vimeo90K

Vimeo90K 데이터셋은 비디오 초해상화 및 기타 비디오 처리 작업을 위한 대규모 고품질 데이터셋입니다.

이 데이터셋은 다양한 장면과 움직임을 포함하여 실제 환경에서의 비디오 처리 성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
1)다양한 장면:

-Vimeo90K 데이터셋은 실내, 실외, 도시, 자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촬영된 비디오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2)고해상도 및 저해상도 비디오 쌍:

-각 장면은 고해상도(HR)와 저해상도(LR) 비디오 쌍으로 제공됩니다.
-초해상화 모델의 학습과 평가할 수 있습니다.

 

3)프레임 수:

-각 비디오는 평균 100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간적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초해상화 성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4)다양한 움직임:

-빠른 움직임, 느린 움직임, 복잡한 배경 등 다양한 움직임을 포함하여, 실제 상황에서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5)데이터셋 구성
-훈련 데이터: Vimeo90K 데이터셋은 64,612개의 비디오 클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클립은 7개의 연속된 프레임을 포함합니다.
-검증 데이터: 7,824개의 비디오 클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클립은 7개의 연속된 프레임을 포함합니다.
-테스트 데이터: 7,824개의 비디오 클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클립은 7개의 연속된 프레임을 포함합니다

 

6)활용 예시
-Vimeo90K 데이터셋은 주로 딥러닝 기반의 초해상화 모델을 훈련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Bicubic으로 전처리된 dataset을 딥러닝 네트워크의 입력으로 학습하여, 초해상화된 출력과 원본 고해상도 데이터와 비교하여 결과를 추출합니다.

2024-12-18

자동유방초음파 진단보조 시스템 개발

모델

  •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와 ViT(Vision transformer) 를 함께 사용하는 hybrid 구조의 DNN 을 사용

데이터셋

  • 자체 수집 데이터셋

  • 자동유방초음파의 병변의 악성과 양성에 따라서 분류한 데이터셋

  • 자동유방초음파의 유방 선조직 성분에 따라서 구분된 데이터셋

  • 일부 데이터는 픽셀 레벨의 마스크 라벨링 됨

전처리

  • DICOM tag 에서 수집할 수 있는 정보들을 활용하여 획일화된 방법으로 전처리후 최종적으로 3-dimensional array 형태로 가공함

연구결과

  • 자동유방초음파 영상내 유방암 검출모델의 경우 민감도 기존 0.804에서 0.889 로 약 11% 성능을 향상시켰음

  • 자동유방초음파 영상내 병변의 악성도 분석모델의 경우 기존모델 민감도 0.8815, 특이도 0.7075, AUC 0.9032에서 신규모델 민감도 0.9282, 특이도 0.8333, AUC 0.9555 로 최대 18%의 성능 향상을 보였음

  • 유방병변영역화의 경우 데이터의 부족을 준지도학습(Semi-supervised learning)을 활용해서 보완하였고, 그 결과 Dice score 기존 0.56에서 0.70 까지 향상시켰음

  • 유방 선조직 성분 분석 모델은 계획단계에서는 밀도 측정 모델로 개발할 계획이었으나 조사결과 자동유방초음파에는 유방선조직 분석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어 기능을 변경하였음. 새로 개발한 자동유방초음파 유방 선조직 분석모델은 정확도 0.7을 보였음

데이터셋 공유

  • 의료데이터 특성상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 셋은 공유가 어려움

2024-12-18

실시간 스마트 주차장 관제 시스템 개발

1. 서론
- 스마트 시티 구현을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도시 내 차량 혼잡도 해소와 효율적인 주차 공간 활용을 위해 필수적인 기술
- 실시간 주차장 모니터링과 차량 인식을 위해 딥러닝 기반의 높은 정확도의 실시간 객체 탐지 기술 연구 진행 필요
- 따라서, 고성능 GPU를 활용한 딥러닝 모델 학습을 통해 주차장 차량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고 실용성을 검증하고자 함

2. 본론
  데이터셋
   - 
실내외 주차장 별 CCTV 영상 데이터 수집 (약 11TB)
   - 다양한 날씨와 조명 조건에서 수집된 차량 이미지로 구성

  모델
   
- YOLO 기반 실시간 객체 탐지 모델 학습
      - Single-stage detector 방식으로 빠른 추론 속도 확보
      - End-to-end 학습을 통한 최적화 성능 달성
   - NVIDIA H100 GPU를 활용한 모델 최적화
      - 대용량 batch 학습을 통한 학습 시간 단축     

번호 구분 주요 내용
1 예측률/인식률/정확도 개선 - mAP50 : 0.64 -> 0.903 (개선율: 41.09 %)
-mAP50-95 : 0.398 -> 0.743 (개선율: 86.68 %)
2 개발기간 단축 - 단축 기간: epoch 당 약 5분
- 단축 기간: 1모델 (1500 epoch) 당 125 시간
- 개선율: 약 90 %
3 시스템 안정성 - 안정성 테스트: 24시간 이상 연속 운영 테스트 완료

 

 

3. 결론
  최종 결론
   - 
주차장 환경에서의 차량 인식 문제실시간 처리 요구사항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 제시
   - YOLO 모델과 H100 GPU의 고성능 연산능력을 활용하여 모델 학습 시간 단축과 성능 향상 달성 (실시간성정확도 확보)
   - 실제 환경에서의 테스트를 통해 시스템의 실용성확장 가능성 검증
   - 향후 edge computing 환경으로의 확장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분산 처리 시스템 구축 가능

  추후 활용 방안
   - 
대규모 공영주차장의 실시간 관제 시스템으로 즉시 적용 가능
   - 주차장 혼잡도 정보를 활용한 스마트시티 통합 관제 시스템과의 연동
   - 차량 통계 데이터 수집을 통한 주차 수요 예측 모델 개발
 

2024-12-18

더보기
더보기

신청한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이용정책이 궁금해요.

데이터유통포털 상품의 저작권 이용정책은 데이터를 등록하는 판매기업(CP)에 의해 결정되며, 데이터유통포털 상품 상세정보의 '상품 구성정보' 탭에서 데이터별 저작권 이용정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 CC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제공되며. CC라이선스의 종류별 이용조건은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시어 이용조건에 맞게 활용 부탁드립니다.

※ 상세 내용 : https://ccl.cckorea.org/about/ 참고

 

라이선스

 이용조건

 

CC BY(저작자 표시)

저작자명 및 출처, CCL 조건만 표시한다면, 제한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CC BY NC(저작자 표시-비영리)

저작자명 및 출처, CCL 조건만 표시한다면, 제한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지만, 상업적으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상업적 이용을 원하면 저작권자와 별도의 계약이 필요합니다.

 

CC BY ND(저작자 표시-변경금지)

저작자명 및 출처, CCL 조건을 표시하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지만, 

저작권을 변경하거나 저작물을 이용하여 새롭게(2차적 저작물*) 제작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번역, 편곡, 변형, 각색, 영상제작 등

 

CC BY SA(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 허락) 

저작자명 및 출처, CCL 조건을 표시하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저작물을 이용하여 새롭게 저작물(2차적 저작물*)을 제작하는 것은 허용하되, 새로운 저작물에 원 저작물과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해야합니다.

* 번역, 편곡, 변형, 각색, 영상제작 등 

 

CC BY NC SA(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 허락)

저작자명 및 출처, CCL 조건을 표시하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지만, 상업적으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상업적 이용을 원하면 저작권자와 별도의 계약이 필요합니다.

또한, 저작물을 이용하여 새롭게 저작물(2차적 저작물*)을 제작하는 것은 허용하되, 새로운 저작물에 원 저작물과 동일한 라이선스를 적용해야합니다.

* 번역, 편곡, 변형, 각색, 영상제작 등 

 

 CC BY NC ND(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금지)

저작자명 및 출처, CCL 조건을 표시하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지만, 상업적으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상업적 이용을 원하면 저작권자와 별도의 계약이 필요합니다.

또한, 저작물을 이용하여 새롭게 저작물(2차적 저작물*)을 제작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번역, 편곡, 변형, 각색, 영상제작 등 

2023-10-31